사용자 삽입 이미지

옴 샨티 옴 India : 2007 : 169min : 35mm : Color :


 "누구도 신이 보호하는 생명의 촛불을 끌 수는 없다."라는 비장한 선언과 함께 영화가 시작되었다. 일 년만에 다시 만난 샤루 칸의 연기는 여전히 능청맞아서 즐거웠고, 디피카 파두콘의 아름다움에 부끄러움도 잊은 채 환호했다.

 여느 발리우드 영화와 마찬가지로, <옴 샨티 옴>의 미덕은 이야기 자체에 있지 않다. 전생에 사랑을 이루지 못한 주인공이 환생하여, 자신의 사랑을 방해한 인물에게 복수한다는 것이 이야기의 전부이다. 169분이나 되는 러닝타임의 추동력이 되는 대사는 단 하나다.

 여러분이 행복하지 않으면, 영화는 아직 끝난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옴 샨티 옴>은 관객들의 즐거움에 충실히 복무한다. 잘 짜여진 음악과 춤이 엉성한 이야기에 힘을 실어준다. 관객은 영화의 힘에 휩쓸려 논리적인 판단을 할 틈조차 없다. 줄거리를 놓치지 않으려 집중하느라 이마에 잡혔던 주름은 순식간에 사라지고, 어느새 영화 속의 인물들처럼 흥겨워하고 즐거워하게 된다.

 카니발과 같은 열기 속에서, 바야흐로 관객은 신화적인 시간에 동참하게 된다. 신과 인간이 교통할 수 있다고 믿었던 옛사람들처럼, 우리는 <옴 샨티 옴>의 세계를 전적으로 믿고 공감하기 시작한다. 인도인들의 원대한(?) 세계관이, 우리들을 설득하는 데 성공하는 찰나이다.

 <옴 샨티 옴>이 주는 쾌는 바로 여기에 있다. 영화가 끝나면 관객은 비로소 영화의 주술에서 깨어난다. 그리고 채 가시지 않은 흥분과 축제의 끝이 안겨주는 아쉬움을 지닌 채 상영관 밖으로 나온다. 같은 공간에서 같은 꿈을 꾸었던 사람들이 이내 뿔뿔히 흩어진다. 

 이것이 <옴 샨티 옴>을 극장에서 봐야 하는 이유다. 축제는, 함께 즐겨야 하니까.



사용자 삽입 이미지

디피카 파두 월페이퍼. 팬클럽은 여기(http://www.deepika-padukone.com/)






사용자 삽입 이미지

파헬리 India : 2005 : 140mim : 35mm : Color 사랑을 나누는 장면에서는 당연하다는 듯 비가 내린다.


 설화는 역사적으로는 '전승'되며 지역적으로는 '전파'된다. 더 많은 사람의 공감을 얻는 설화는 끈질긴 생명력을 가지고 더 널리 퍼지게 된다. 한편 이야기는 자연현상을 설명하고자 하는 욕구로부터 기원하기 때문에 어떤 화소들은 여러 곳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세계에는 놀라울 정도로 비슷한 이야기들이 곳곳에서 여전히 이야기되고 있다.

 인도영화 "파헬리"는 우리나라로 치자면 옹고집전에 지귀설화를 섞어놓은 정도의 영화이다. 나무의 정령이 한 여인을 사랑하게 되어, 집을 비운 그녀의 남편 형상을 하고 그녀와 사랑을 하게 된다는 간단한 뼈대의 이야기를 두 시간 20분으로 늘여놓았다. 인도영화이니만큼 흥겨운 노래와 춤이 끊이지 않고 삽입되어 지루하다는 느낌은 없다.

 재미있는 것은 해설자 역할을 하는 꼭두각시 인형들이다. 왕과 왕비의 모습을 한 인형들은 판소리의 고수처럼 이야기에 추임새를 넣고 안타까움을 표시하기도 하며, 현자와 같은 충고를 하기도 한다. 조금 허술한 점은, 처음엔 이야기의 내부에 있던 인형들이 나중에는 이야기의 외부에서 논평자의 역할을 한다는 점이다. 어쨌든 꼭두각시 인형들 덕에 영화는 민담의 특성을 획득한다. 할머니가 조곤조곤 들려주는 흥미 본위의 옛날 이야기 같은 느낌 말이다.
 
 영화는 조금 황당하게 끝을 맺는데 골치 아픈 것은 잊어버리고, 민담을 듣는 것처럼 즐기고 마는 것이 좋을 듯하다. 이 영화에서 결말의 윤리성을 따지는 것은 성경을 읽으며 "에이, 말도 안돼"라고 말하는 것과 마찬가지일 테니까. 일단 표를 손에 넣었다면, 그들의 춤과 노래를 마음껏 즐겨라. 단, 옆 사람에게는 피해가 가지 않을 정도로만.